[소강석 목사 목양 칼럼] 고도원과 소강석

  • 입력 2018.12.09 08:38
  • 기자명 컵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0.jpg

고도원 하면 ‘아침편지’가 생각나지요. ‘아침편지’ 하면 ‘깊은 산속 옹달샘’이 생각나고요. 그런데 고도원 하면 이름부터 높게 느껴집니다. 저에게 있어서 그분은 이미 대기권 밖의 존재입니다. 이어령의 글은 천의무봉같고 끝없는 지식을 글로 풀어서 거대한 산맥처럼 이어가는 것을 보면 혀를 내두르곤 합니다. 과거에 썼던 수필은 저의 마음을 저 흙속에, 바람 속으로 이끌어가는 것 같지만 최근에 저술한 ‘디지로그’ ‘젊음의 탄생’ ‘생명이 자본이다’ 등은 고정관념의 틀을 깨뜨리는 창조적 신지식의 세계를 보여줍니다. 반면에 고도원의 글은 단아하면서 청아합니다. 그의 글은 깊은 산속의 사상과 신비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고 저 높은 별들의 세계를 인간의 언어로 표현합니다. 그 역시 다독으로 인한 깊은 사상을 자신만의 언어로 단아하고 순백하게 풀어냅니다. 그래서 그의 글은 촌철살인과 같습니다. 저는 이 분을 어떻게 만나볼 수 있을까 염원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김재일 장로님을 통해서 우리 교회 예배에서 영화처럼, 소설처럼 만나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저는 지난주에 부교역자들 100여명과 함께 깊은 산속 옹달샘 프로그램까지 다녀왔습니다. 길지 않은 짧은 만남이었지만 큰 가르침을 받고 깊은 마음의 교제를 나누고 왔습니다. 사실 그 분과 저를 비교하는 것은 그 자체가 실례입니다. 그 분은 저와 뇌구조부터 다르고 내장까지도 다릅니다. 저는 대기권 안에서 활약하는 사람이지만 이미 그 분은 대기권 밖의 글과 정신과 사상의 내공을 지닌 존재입니다. 그 분은 저보다 더 불우한 삶을 살았고 고난과 고통의 광야에서 절대고독을 경험하신 분입니다. 그리고 누구보다도 그릿(GRIT)을 가지고 살아왔습니다. 활동영역이 다르고 공간이 달랐지만 저 역시 거친 광야에서 절대고독을 경험하고 그릿을 소유한 사람입니다. 그 분의 필력과 깊은 명상 속에서 우러나오는 정신은 제가 따라갈래야 따라갈 수가 없지요. 다행히 그 분은 장로님이고 저는 영혼을 다루고 섬기는 목사이기 때문에 감히 그 분과 가까이하고 교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깊은 산속 옹달샘’에 가서 보니까 그 분은 정말 살아온 삶 자체가 너무나 바보스럽고 역설적이었습니다. 그 바보스러움과 역설이 충주의 산골짜기에 위대한 명상 벨리를 만들게 된 것입니다. 그는 광장에서 싸우는 검투사가 아니라 위대한 산으로 존재하며 혼탁한 세상에 청명한 공기를 보내주고 맑은 샘물을 흘려보내고 있었습니다. 그야말로 4차 산업의 위대한 변혁을 이루었고 그 변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는 이미 그러한 삶을 살고 있고 여전히 ‘꿈 너머의꿈’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특별히 전쟁터와 같은 세상에서 지치고 힘들어하는 젊은이들에게 삶의 정체성을 확립해주고 꿈을 심어주고 있었습니다.

저 역시 짧은 시간이었지만 그곳의 감동과 꿈, 설레임과 두근거림을 경험하고 왔습니다. 무엇보다도 잠시 멈춤과 고요한 명상의 시간도 배우고 왔습니다. 저는 명상형 보다는 활동형인 사람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광장에서 함성을 내지르고 검투사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저를 지금까지 광야 한 가운데 붉은 고원의 땅으로 인도 하셨습니다. 풀 한 포기 나지 않은, 물 한 모금 없는 극지에서 살인광선과 싸우며 절대 고독을 느끼게 하신 것입니다. 그 황야에서 맨손으로 땅을 파서 나오는 물 한 모금을 목에 적시면서 절대 희망을 갖게 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저를 돌아보게 하고 겸손 훈련을 시킨 것입니다. 또 교회가 하루아침에 부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이 저의 브레이크가 되셔서 교회의 부흥을 지연케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저에게도 절대 고독을 느끼게 하시고 잠깐 멈춤을 경험하게 하신 것입니다. 저에게 이런 것이 없었으면 진작 쓰러져 죽거나 아니면 벼락 맞은 나무가 되어 버리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로 여기까지 왔고 ‘깊은 산속 옹달샘’에 가서 잠깐 멈추고 명상을 통하여 다시금 나 자신을 돌아보는 훈련을 터득하게 하셨습니다. 여전히 고도원은 이 세상의 광장에 나와 소리치거나 격문을 쓰지는 않지만, 그 어떤 웅변보다도, 그 어떤 활자보다도 더 가슴 시린 울림을 주는 청정한 공기와 맑은 샘물을 주는 거산으로 존재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늘도 저는 광장에서 소리를 내지르는 웅변의 삶을 살아갑니다. 때론 시대와 역사를 향하여 격문을 쓰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제 가슴의 샘이 메마르고 상념의 대기가 탁해질 때마다 저는 ‘깊은 산속 옹달샘’을 생각하며 고도원 장로님께 달려갈 것입니다. 그것이 제가 사는 길이고 저의 사역을 더 깊고 푸르게 만드는 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