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시설 확진자’ 통계 11%, 국민들은 실제보다 4배 많은 줄 알아

  • 입력 2021.01.29 17:24
  • 기자명 임경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0129_172037.jpg

 

교회에 대한 반감이 언론의 선정적 보도를 만나 부정적 인식 배가돼

목회데이터연구소 “연합기관 ‘대언론 상설기구’ 반드시 필요”

코로나19 확진자 숫자가 매일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는 나날을 살아가고 있다. 특히 언론들이 교회와 관련한 확진 보도를 선정적으로 다루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은 실제보다 교회 관련 확진자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는 교회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과 직결되며, 전도와 선교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민감한 사안일 수밖에 없다.

지난 21일 질병관리청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20일부터 2021년 1월19일까지 지난 1년 동안 코로나19 전체 감염자의 경로 중 종교시설을 통한 감염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와 직접 접촉한 사례가 38%로 가장 높았고, 음식점과 유흥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감염이 12%로 종교시설보다 높았다. 뒤이어 신천지가 10%, 요양시설이 8%, 직장에서가 7%, 가족과 지인 모임이 7%, 의료기관이 5%, 교정시설 2%, 8.15집회가 1%로 집계됐다.

하지만 목회데이터연구소가 1월12~15일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정부방역조치에 대한 일반국민 평가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종교시설 관련 확진자가 전체의 44%에 달한다고 응답했다. 실제로는 11%였지만 사람들은 44% 정도로 무려 4배 가량 과장되게 인식하고 있었다. 

유의할 점은 ‘교회 관련’이 아니라 ‘종교시설 관련’으로, 지난 1년 동안 가톨릭과 불교 등 타종교를 포함한 수치라는 점이다.

이를 두고 ‘실제로 교회에서 끊이지 않고 확진자가 발생했기 때문’이라는 목소리도 있지만, 전국에 6만개의 교회, 1000만명의 개신교인이 있다는 현실은 무작위로 감염자가 발생해도 5명 중에 한 사람은 기독교인이라는 통계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그보다는 사회에 편만한 반기독교 정서를 악용한 일반 언론들의 선정적인 보도가 넘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인식이 좀 더 정확할 것으로 보여진다. 일단 ‘교회를 까면 조회수가 보장된다’는 공식(?)이 깨지지 않고 있고, 트래픽 상승은 광고 단가를 높이기 때문이다.

코로나가 한창 확산세를 보이던 지난해부터 확진자는 사회 곳곳에서 발생했지만, 확진자의 동선 가운데 교회에서 예배드린 족적이 발견되면 언론은 무턱대고 ‘교회발’이라고 못박았고, 사람들은 ‘또 교회냐’며 맹비난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국민 5명 중에 한 명은 기독교인이기에 확진자 중에 교회를 방문한 사람이 많은 것은 당연하다. 이 때문에 확진자가 아님에도 특정 교회 성도라는 이유만으로 긴급 수술을 받지 못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까지 벌어지자 기독교계는 거세게 항의했다. 이후 교회를 표적삼은 보도는 비교적 감소했으나 교회를 향해 생성된 부정적인 이미지와 기억은 고스란히 남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10129_172152.jpg

그래서일까. ‘공익을 위해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예장합동총회가 실시한 ‘코로나19 이후 교회생태계 지형 변화 조사’에서는 ‘국가는 종교의 자유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가 31%, ‘제한할 수 있다’가 59%로 집계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1월 목회데이터연구소의 조사에서는 각각 11%와 86%로,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크게 증가했다.

이처럼 공익을 위해 교회의 예배를 제한할 수 있다는 정서가 팽배해진 것과는 달리 종교와 상관없이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당국의 조치는 정확히 49%대 49%로 ‘공정하다’와 ‘공정하지 못하다’로 나뉘었다. 정부의 조치로 자영업자들이 영업손실을 이유로 헌법소원 등의 항의를 하는 것에도 국민 68%가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교회를 대하는 시선과 다중이용시설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온도 차이가 상당했다.

이러한 한국교회를 향해 국민들은 ‘교회의 공공성’을 회복하여 ‘지역사회와 한국 사회를 섬기는 공적 역할’을 감당해주길 바라는 마음을 크게 드러냈다.

20210129_172404.jpg

‘지역사회와 한국 사회를 섬기는 공적 역할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개신교인 80%, 비개신교인 83%가 동의했다. 아울러 향후 한국교회가 집중해야 할 분야도 ‘자기 교회 중심에서 벗어나 한국교회 전체를 바라보는 교회의 공공성’(개신교인 39%, 비개신교인 49%)을 가장 먼저 꼽았다. 한국교회 연합기관을 향해 가장 바라는 것도 ‘한국교회 신뢰도 회복’이 55%, ‘평신도의 공교회 의식 및 교회의 공공성 교육’이 35%로 나타났다.

이번 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한 목회데이터연구소는 “코로나19로 인해 교인들의 교회생활이 위축되면서 개인 신앙생활의 위기가 닥쳐왔고, 교회 헌금이 줄어들면서 소형 교회는 생존의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면서 “교회 내적 활동의 위기도 위기지만 더 큰 위기는 교회에 대해 일반 국민이 혐오의 대상이라고 할 정도로 기피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라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이어 “교회발 감염자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차이가 발생하는 기본적인 이유는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정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아야 한다”면서 “가뜩이나 불안했던 교회에서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다 보니 그것에 대해 더 주목하고, 그래서 실제 이상으로 교회발 확진자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일반 국민은 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언론을 통해 듣기 때문에 언론이 국민 인식 형성의 절대적인 영향자이다. 지난 1년간 코로나를 겪으면서 한국교회가 깨달은 점이 있다면 언론을 상대하는 데 미숙한 점이 많았다는 점”이라고 지목하며 “차제라도 한국교회 대표적인 연합기관을 중심으로 언론을 상대하는 ‘대언론 상설기구’를 운영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이 점에 대해 교계 지도자들이 고민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